"한국형 백신 도입으로 구제역 발생을 막는 방법 밖에 없어"


▲사진=구제역 양성 판정 받은 돼지들 살처분 하는 방역 관계자

[투데이코리아=선다혜 기자] 지난달 구제역이 발생했던 전북의 이동조치가 해제된 지 5일만에 충남 공주와 천안시에서 잇달아 구제역 의심 신고가 접수되면서 전국 가축농가들이 공포에 떨고있다. 특히, 충남의 경우는 지난해 5월에 구제역이 발생한 지 9개월만에 다시 재발하면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빈번하게 재발하고 있는 구제역의 대비책을 만들지 않으면 지난 2010과 2011년 사이에 발생한 최악의 구제역 사태가 또다시 발생활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사상 최악의 구제역 사태로 불리고 있는 2010~2011년에만 소 15만864마리·돼지 331만8298마리·염소와 사슴 1만800마리 등이 살처분된 바 있다.

지난 18일 농림축산식품부는 공주와 천안에서 구제역에 발생한 것을 확인하고 19일 0시부터 24시간 동안 가축에 대해 일시 이동 중지명령을 내렸다. 이에 따라서 해당 지역 내 우제류 가축과 축산 관련 종사자의 이동은 축산 농자·장업장 출입이 금지된 상태다. 현재 이 같은 '일시 이동 중지' 적용 대상 충남·대전·세종 전 지역 내 축산농가, 도축장, 축산 시설 출입차량 2만 7000개소다.

이번 구제역으로 인한 농가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한국의 경우 지난 2010년 말 구제역이 발생한 후에 빈번하게 구제역으로 인한 홍역을 앓아왔다. 사상 최악의 구제역 사태를 맞은 뒤 백신을 썻음에도 불구하고, 올해까지 크고 작게 구제역이 계속됐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해 5월 충남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직후 채 1년도 되지 않아 전북에서 구제역 신고가 들어왔으며, 전북 구제역 문제가 해결되기 무섭게 충남에서까지 구제역이 발생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현재 가축들에게 사용되고 있는 '백신'이 효과적인 것인지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백신(O 3039) 대해서 전문가들은 백신 효력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백신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구제역 바이러스하고 유전적으로 일치율이 20%이상 차이가 난다"며 "백신은 5% 이상만 차이나 나도 효능이 떨어진다. 때문에 현재는 백신 자체가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더욱이 이렇게 일치율이 떨어지는 백신마저도 국민들의 막대한 세금이 들어가는 상황이다. 결국, 현재 백신으로서는 구제역을 막지 못할 뿐더라 국고를 낭비하는 셈이다.

또한 백신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함으로서 2010~2011년과 같은 최악의 구제역 사태가 발생한다면 그에따른 피해도 막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당시 구제역으로 인한 피해로 살처분 보상금 등은 3조원에 달했다. 2011년 당시 전체 축산업 생산액이 14조 9900억원이었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피해금액이 생산액의 20%넘는 규모였던 셈이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하루빨리 피해를 줄이기 위해 한국형 백신을 도입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렇게 빈번하게 구제역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효과가 낮은 백신은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형 백신을 도입함으로서 농가의 피해를 줄이고 국제역에 따른 피해 규모도 줄이자는 주장이다.

한편, 방역 당국은 구제역 발생 농장 인근 3Km 내 농가에 대해 이동조치를 내리고, 주변 지역 농장에는 추가 백신 접종에 들어갔다. 현재까지는 구제역 바이러스 유입 경로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