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민철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저성장 흐름이 경제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단기 경기부양책보다 장기적 관점의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히면서 이목이 집중됐다.

이 총재는 30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6년 한국은행 국제 컨퍼런스' 개회사에서 "저성장을 극복하기 위해 정책대응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 단기적 성장률 제고보다 장기시계에서 지속가능한 균형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지 8년이 지났지만 세계경제 성장세가 최근 들어 다시 둔화되고 있고 고용 상황도 뚜렷히 개선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 고용이 양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질적인 면에서 사정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각국이 경제활력을 강화하기 위해 갖가지 비전통적 수단을 동원하고 있으나 경제회복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위기 이후 세계경제 환경에 구조적 변화가 발생한 것을 반증한다"고 강조했다.

총수요 측면에서 △고령화 진전 △부채 증가 △소득불균형 확대 등으로 소비와 투자가 위축되고 있고 공급 측면에서는 △투자부진에 따른 생산성 향상 지연 등이 문제되고 있다고 이 총재는 지적했다.

이 총재는 “이 같은 경제구조 변화가 저성장 기조를 고착화 시킬 수 있다는 소위 세계경제의 장기정체(secular stagnation) 우려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위기 이후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고용이 성장을 이끄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며 고용이 성장을 이끌수 있는 정책운용 방향성을 설명했다.

이 총재는 "가계소득의 원천이 되는 고용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을 적극 추진해서 총수요 증대를 유도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용해 고용 확대에 도움이 되는 여건을 조성하고 미시적 차원에서도 고용유발 효과가 큰 서비스산업 육성과 창업지원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고용 확대를 통해 늘어나는 소득이 소비로 원활히 이어질 수 있도록 근로자간 임금 및 고용조건의 불균형을 완화하고 사회안전망 확충 등을 통해 미래에 대한 경제주체들의 불안감을 줄여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