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駐露 북한대사 대외경제상 임명" 北露 유착 표면화


형식상 북한 국가원수인 김영남(왼쪽)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


[투데이코리아=오주한 기자] 2006~2014년 모스크바에서 근무한 김영재 전 주러(駐露) 대사가 북한 대외경제상에 임명됐다고 22일 러시아 국영 스푸트니크통신이 주북(駐北) 러시아 대사를 인용해 단독보도했다.

알렉산드르 마체고라 주북 대사는 페이스북에서 "김영재 대외경제상이 러시아-북한 협력의 중요 요소인 무역 활성화와 향후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북러(北露) 경제협력은 2014~2016년 사이 급속도로 규모가 확장됐다.

최근 내각부총리로 승진한 리룡남 전 대외경제상 지휘 하에 2015년 1월 하산-나진 물류프로젝트, 4월 국제도로운송에 대한 정부 간 합의, 12월 에너지 분야 협력 정부 간 합의 등이 체결됐다.

비공식적으로는 무기 협력, 탈북자 북송(北送) 등도 진행되고 있다. 러시아는 부인하고 있지만 여러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

올 2월 국가정보원은 북한 미사일 잔해에서 러시아 부품이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6월에는 탈북자 망명을 4차례 거부하다가 시민단체 항의가 일자 억지로 1년 체류를 허가했다. 이 탈북자는 1년이 지나면 불법체류자가 돼 북한으로 송환된다.

과거 북한의 주요 '생명선'은 중국이었다. 스탈린 사후 흐루시초프에 의해 1인 독재 비난운동이 벌어지자 북한은 친중(親中)으로 전환했다. 하지만 중국마저 마오쩌둥 사후 개혁개방 운동이 일자 북한은 독자노선을 걷기 시작했다.

97년 망명한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의 생전 증언에 따르면 중국은 줄곧 북한에 개혁개방을 요구했다. 수천만 북한 인구를 먹여살리는 것이 부담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북한은 끝내 거부했다. 개혁개방 시 주민들은 '수령'의 권위 즉 배급에 기대는 대신 '자력갱생'에 나서서 종래에 1인 독재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소련이 대표적 사례다.

때문에 김정일이 가장 증오한 나라가 중국이었고 중국이 가장 싫어하는 존재가 북한 지도부였다. 이러한 반(反)개혁개방 성향은 황 전 비서 망명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러시아는 친(親)서방 정책을 펼친 옐친 정부 당시에는 북한과 거리를 뒀지만 사실상 1인 독재 시대를 부활시킨 푸틴 정권 집권 후부터 북한과 유착하기 시작했다.

가장 큰 이유는 북한을 활용해 서방을 견제하기 위함이다. 예측할 수 없는 돌발행동으로 유명한 북한을 통제하는 주체가 러시아임을 서방에 각인시켜 "우리 요구에 불응하면 미친개를 풀어놓겠다"는 식으로 나오려는 의도다.

러시아는 이를 위해 북한에 막대한 물밑지원을 펼치는 것으로 우리 정보당국은 파악하고 있다. 북한으로서도 당장의 생존과 한반도 적화(赤化)를 위해 러시아의 지원과 요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북한은 러시아 지원을 바탕으로 남한을 흡수한 뒤 삼성 등에 대한 국유화 조치 등 세계 10위권 규모의 경제력을 김정은 '궁정경제'로 흡수한다는 계획이다.

러시아가 당장 '한국 멸망'을 묵인할 가능성은 낮다. 한국은 러시아에게 있어서 중대한 수출시장이기 때문이다. 한국 경제가 김정은의 사유재산으로 전락해 몰락할 경우 러시아가 입을 경제적 타격은 적지 않다.

그러나 동서진영 간 제3차 세계대전 발발 징후가 발생할 경우 첫번째 격돌지가 한반도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북러 유착의 위험성은 충분히 드러난다. 러시아는 북한을 앞세워 한반도에서 자유진영과 대리전을 치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