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신웅 기자] 2,200억 원의 예산으로 환경부가 추진하고 있는 하수처리장의 에너지자립화사업이 검증도 제대로 되지 않은 기술 적용으로 예산만 크게 낭비하고 있다.


하수슬러지를 자원화해 그 양을 줄이고, 동시에 투자한 비용까지 회수하겠다던 애초의 목표 달성이 기술과 시설의 하자투성이로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예산만 펑펑 쏟아붓고 있는 환경부 하수처리장 에너지 자립화 사업의 문제점을 취재했다.


수도권에 위치한 한 생활하수처리장, 하수를 걸러내면 많은 양의 찌꺼기 이른바 슬러지가 나온다.


이런 하수슬러지를 건조하거나 나오는 가스를 이용하는 에너지자원화사업장에 시설비로 22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하지만 에너지 자립률은 8%의 한 자릿수에 머물러 있다. 설치한 시설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가동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하수슬러지를 발효시켜 나오는 메탄가스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엔진 발전 시스템은 탈황시설의 경제성 문제로 지금은 멈추어 있다.


연료로 사용하는 메탄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를 제거한다며 설치한 탈황설비의 하자 때문이다.


발주처인 환경공단은 폐기물의 성상 탓만 하면서 그 원인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는 10년이면 투자비 회수가 가능하다는 발주처의 말만 믿고 2,200억 원의 예산을 투입 전국 21곳에 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시설을 강행하고 있다.


현재 8곳의 에너지 자립화 시설비에만 925억 원이 들어갔다.


에너지 자립화가 어렵게 되자 환경공단은 지난해 5월, 사업명을 하수슬러지 감량화 사업으로 변경했다.


그런데도 하수슬러지 발생량 역시 1곳을 제외하고는 7곳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왜 이런 일 일어난 것일까?


에너지 자립화 사업에 앞서 기술과 시설에 대한 사전 검증이 전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범사업지를 21곳이나 선정해 우선 8곳에 예산을 동시에 퍼주었기 때문이다.


예산을 지원해주기에 앞서 1곳의 시범사업지를 골라 사전 검증만 거쳤더라도 1,000억 원의 가까운 예산 낭비는 막을 수 있었을 것이다.


하수처리장 에너지자립화사업을 감량화 사업으로 꼬리를 내린 환경부, 폐기물자원의 에너지 자립화를 구실로 예산을 내 돈처럼 아끼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낭비하고 있다. 이에 대한 책임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