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수위 낮추고 녹조시 대량 방류해도 녹조와 수질악화 계속

▲한강하류 '녹조 라떼'현상

▲영산강 '녹조 라떼' 현상

[투데이코리아=최고운 기자] 무려 22조원이 넘는 사업비가 들어가 매년 관리비만 수천억원이 투입돼온 4대강 사업이 실패로 끝날 가능성이 커졌다.

1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원욱 의원(경기 화성을)에게 제출한 '2017년 댐·보·저수지 최적 연계운영방안'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환경부, 농림수산식품부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댐‧보 연계운영 중앙협의회(지난 2월 2일)’에서 ’17년 댐-보-저수지 최적 연계운영 방안'을 심의‧의결했다.

2017년부터 “보 수위의 활용 범위를 기존 어도제약·양수제약수위에서 지하수 제약수위까지 확대하는 것으로 개선”한다는 내용이다.


이는 그동안 이명박정부가 4대강 사업을 강행하며 홍보해온 '치수'(治水) 기능이 사실상 크지 않음을 정부 스스로 자인한 셈이다.


4대강 사업으로 만든 16개 보에 지금까지처럼 물을 가득 채워놓거나 일시적인 방류 만으로는 수질 악화를 막을 수 없다는 데 의견을 같이한 것이다.

정부는 먼저 16개 보의 방류 한도를 기존 '양수제약' 수위에서 '지하수 제약' 수위까지 낮추기로 했다. 보 인근 농업용수용 취수구에서 물을 끌어쓸 수 있는 정도로 수위를 유지하던 것에서 일반 지하수를 이용할 수 있는 수위까지 평균 2.3m 더 낮춰 방류 한도를 확대한다는 얘기다.

방류 시기와 적용 지역도 확대된다. 지금까지는 녹조가 많이 생기는 6~7월에만 제한적으로 방류해왔지만, 앞으로는 필요할 때마다 방류할 수 있도록 했다.

3월까지는 △한강 이포보 △금강 세종보 △영산강 승촌보 △낙동강 달성보 △합천 창녕보 △창녕 함안보 등에서 시범 실시한 뒤 4월부터 4대강 모든 구간에서 수위를 낮춰 방류를 실시한다.

가령 이포보의 경우 기존 관리수위는 28m이지만, 앞으로는 지하수 제약수위 하한선인 25.3m를 기준으로 운용된다. 낙동강 달성보도 기존 13.7m에서 11.6m로 낮아진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여름 일시적으로 보의 수문을 열어 다량의 물을 흘려보내는 이른바 '펄스(Pulse) 방류'를 실시했지만, 녹조의 폭발적 증가를 막기엔 역부족이란 결론에 도달했다.

이에 따라 연구용역을 거쳐 마련된 이번 방안은 4대강뿐 아니라, 다른 수계에서 수질이 악화될 때도 준용될 전망이다.
이번 결정은 정부가 더 이상 4대강 사업의 실패를 감출 수 없으며, 4대강의 수위를 유지하는 속에서는 수질관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시인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지난 2년간의 펄스형 시험 방류를 통해 수질 개선을 추진했던 정부가 여름철 한시적인 유량조절로는 수질개선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라고 본다. 또한 4대강 보들의 수문 전면개방이 기술적으로도 어려운 문제가 아니며, 수질개선을 위해 불가피하게 나아가야할 방향이라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이해한다.


그러나 관리수위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이번 수위 저하는 상시적인 보 개방이 아닌 보별로 수위를 관리수위→어도제약수위→지하수 제약수위로 단계적으로 낮춘 후 관리수위로 회복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1회당 약 15일이 소요되어 15일에 한 번씩만 상당한 수량이 흘러나가는 것에 불과하다. 지속적으로 하천의 흐름과 유속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기에 그 효과는 불투명하다. 흐름이 없는 기간 동안 오히려 수질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어민의 어로활동에도 제약이 따를 수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12일 논평을 내고 "이같은 결정은 임시변통이며, 근본적 방향도 아니다"면서 "보 수위를 지하수 제약수위까지 낮춘다고 해도 주변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을텐데 이를 모니터링 한다고 수문 전면 개방을 미루는 것은 시간 낭비다"고 지적했다.


또한 환경련은 "그동안 4대강사업을 추진하고, 4대강사업 피해에 눈감았던 정부기관들로 구성된 단위인 ‘댐‧보 연계운영 중앙협의회’에서 보개방 여부를 다루는 것도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이다"며 "수문의 전면 개방을 위해서는 관련 단위를 새롭게 구성해야 하고, 본격적인 논의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비판했다.


환경련은 "정부의 이번 결정이 4대강사업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아니라. 4대강의 수질개선과 재자연화를 위해 진정성 있고 책임 있는 태도"를 요구했다.


여기에 4대강사업 이후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경인운하 연장, 친수구역 개발, 지방하천 개발, 도수로 사업 등 이름을 달리한 4대강 사업의 전면 검토와 대책강구를 강조했다.

환경 전문가들은 "수위를 낮춘다고 정상적으로 강물이 흐르지 않는다"라며 "물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보가 계속 존재할 경우 녹조와 수질 악화는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