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외감법 개정안 통과... 재무정보 공개해 수익 환원 유도


[투데이코리아=김창석 기자]해외 사치품 업체들은 2011~2015년 사이 유통업체를 상대로 한 '갑질'과 본사 배당금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은 한국 사회 공헌 등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바른정당 홍일표 의원(인천 남구갑)은 2016년 10월 열렸던 금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외국계 사치품 업체들의 도덕적 해이를 강하게 질타하기도 했다.


당시 홍 의원은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프라다코리아, 버버리코리아, 페라가모코리아, 불가리코리아, 스와치그룹코리아 등 외국계 명품업체가 한국에서 돈을 벌어 본사에 배당한 액수는 1천117억원에 달한다"며 "외국계 기업들이 한국에서 이익만 빼가고 사회 환원이나 재투자는 거의 없다"고 질타했다.


프라다코리아같은 회사는 2010년 한 해에만 국내에서 벌어들인 돈이 기준으로 194억원에 달했지만 2006~2010년까지 5년 연속 기부금 실적은 '0'이었다.


이처럼 높은 본사 배당률과 낮은 사회 공헌 등으로 여론의 비판을 받자 이들은 문제점을 개선하기는커녕 일제히 기부금 규모 등의 재무정보 공시 의무가 없는 유한회사로 전환, 정보통제를 강화하는 '꼼수'로 대응했다.



18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루이뷔통코리아와 구찌코리아, 에르메스코리아 등 업체들은 비상장 유한회사도 주식회사에 준하는 수준의 외부감사를 받고 주요 재무정보를 공시하도록 한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이 국무회의를 통과하자 긴장한 분위기다.


루이뷔통코리아는 2012년 법인 형태를 주식회사에서 유한회사로 전환했으며 구찌코리아는 2014년 유한회사로 잇따라 법인 형태를 바꿨다.


샤넬코리아와 같은 회사는 1991년 10월 국내에 진출할 때부터 유한회사 형태로 법인을 설립해 20년 넘게 구체적 재무정보가 공개된 적이 한 번도 없다.


업계 관계자는 "정치권과 언론 등에서 제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는커녕 비밀주의 강화로 대응했던 해외 사치품 업체들이 외감법 강화로 곤혹스런 입장에 처했을 것"이라며 "삼성전자나 현대자동차 같은 국내 기업들도 해외에서 사업하려면 현지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하는데 이들도 태도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