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유착 고리 끊기 과제 남기고 살기위한 방편 마련

[투데이코리아=최치선 기자] 지난 2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한국기업연합회'(한기련)로 간판을 바꿔 달았다. 하지만 정경유착 고리를 끊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단순히 이름만 바꾸고서는 전경련의 과거를 되풀이 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24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관에서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혁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전경련이 발표한 쇄신안 역시 발등에 떨어진 조직해체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비판의 소리가 높다. 그동안 최대 자금줄이었던 삼성 등 4대 그룹이 탈퇴하면서 불가피했던 조직 개편과 예산 축소를 진정한 의미의 쇄신안으로 보기에는 힘들다는 것이 정치권과 경제계의 중론이다.

이날 발표한 전경련의 혁신안은 지난해 12월말 LG그룹 구본무 회장 등 주요 재계 인사들이 "전경련을 미국의 헤리티지재단처럼 싱크탱크로 운영하면서 재계의 친목단체로 남기자"고 제안한 쇄신안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내부에서의 실망감도 큰 분위기다.

전경련은 당초 싱크탱크 전환 가능성을 모색했지만 내부 이견이 빚어지자 기존 정책연구기능을 산하 연구단체인 한국경제연구원으로 이관하는 수준에서 논의를 봉합한 것으로 알려졌다.

혁신안의 핵심인 기업 중심 경제단체로의 변신 역시 환골탈태와는 거리가 먼 임시방편에 불과해 대한상공회의소나 중소기업중앙회와의 차별성이 없다는 것도 한계다.

한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허창수 회장의 대국민 사과에 이어 혁신안 발표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경실련의 정택수 간사는 "허 회장이 발표한 혁신안에 따르면 전경련은 “한국기업연합회”로 명칭을 바꾸고 일부 기능을 강화할 예정이다"고 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전경련은 정경유착 혐의가 드러날 때마다 사과와 쇄신약속을 거듭해왔으나 정경유착의 악습을 버리지 못했고 이번 국정농단 사태에 이르고 말았다. 이번 혁신안은 조직 구조와 인적자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지 못하다는 점에서 그동안 반복해온 쇄신약속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해체라고 하는 근본적인 쇄신방향을 외면하고 조직유지를 선택한 전경련이 과연 쇄신의지가 있는 것인지 진정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결국 이번 혁신안은 들끓는 해체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국민들을 눈속임하려는 의도로 발표된 것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전경련의 혁신안에 대해 더 이상의 꼼수를 중단하고 해체절차에 돌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투데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